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양도소득세율 정리

by 아탐구 2025. 4. 6.

2025년 양도소득세율

양도소득세율은 자산을 매도하여 발생한 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양도소득세율을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1. 일반 양도소득세율 (기본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200 만원 이하 6% -
4,600 만원 이하 15% 126 만원
8,800 만원 이하 24% 576 만원
1억 5천만원 이하 35% 1,544 만원
3억원 이하 38% 1,994 만원
5억원 이하 40% 2,594 만원
10억원 이하 42% 3,594 만원
10억원 초과 45% 6,594 만원

 

2. 단기 보유 자산에 대한 중과세율

단기 보유한 부동산의 경우 투기 방지를 위해 기본세율보다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보유기간 조정대상지역 일반지역
1년 미만 70% 50%
2년 미만 60% 기본세율

 

3. 다주택자 중과세율 (조정대상지역 내)

조정대상지역에서 다주택자가 주택을 양도할 경우 기본세율에 추가 세율이 가산됩니다.

보유 주택 수 추가 세율
2주택 기본세율 + 20%p
3주택 이상 기본세율 + 30%p

 

위의 세율을 적용하여 시세 5억원인 일반 주택을 매도할 경우 양도소득세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 조건: 박씨는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매도했습니다.
• 양도가액: 5억 원
• 취득가액: 2억 원
• 필요경비: 중개수수료 등 총합 약 1천만 원

•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과세표준은 약 2억8천750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 해당 금액에 기본세율(38%)과 누진공제를 적용해 산출된 세금은 약 9,994만 원입니다.

 

주의사항

1.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

최소 보유 기간(3년 이상)을 충족해야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최대 공제율은 보유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최대 80%).


2. 조정대상지역 확인 필수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는 중과 대상이므로 거래 전 반드시 지역 규정을 확인하세요.


3. 단기 매매 주의

보유 기간이 짧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므로 단기 매매는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4. 필요경비 철저히 정리

취득·등록비용, 중개수수료 등은 필요경비로 인정되므로 관련 서류를 꼼꼼히 준비하세요.


결론

2025년 양도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적으로 적용되며,

단기 보유 자산이나 다주택자에게는 중과세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부동산 거래 시 사전에 세금 계산을 철저히 하고, 

장기보유특별공제와 같은 절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절세효과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